이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는 2025년 기준으로 세전 연봉을 입력하면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월 실수령액과 연 실수령액을 계산해주는 도구입니다. 4대 보험, 소득세, 지방소득세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실수령액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.
💰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
📊 계산 기준 안내
🏥 4대 보험
- 국민연금: 4.5% (월 상한 318만원)
- 건강보험: 3.545%
- 고용보험: 0.9%
💰 소득세율 (누진세)
- 1,200만원 이하: 6%
- 1,200만원 초과: 15%
- 4,600만원 초과: 24%
- 8,800만원 초과: 35%
- 1,200만원 이하: 6%
- 1,200만원 초과: 15%
- 4,600만원 초과: 24%
- 8,800만원 초과: 35%
⚠️ 주의사항
- 실제 세무신고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
- 의료비, 교육비 등 추가공제는 반영되지 않습니다
- 회사별 4대 보험 공제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
- 연말정산 시 추가 환급/납부가 있을 수 있습니다
📖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 방법 안내
📌 1단계: 기본 정보 입력
① 세전 연봉 입력
② 월 비과세 식대 입력
기본값: 100,000원
이 식대는 소득세 계산에서 비과세 처리되어 공제됩니다.
③ 부양가족 수 입력
본인을 제외한 인원 수를 입력하세요.
예: 배우자 1명 + 자녀 2명 = 3명
④ 4대 보험 가입 여부 선택
가입: 4대 보험료가 공제됩니다.
미가입: 보험료 공제가 없습니다.
🧮 2단계: 계산 실행
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“계산하기” 버튼을 클릭하세요.
자동으로 실수령액을 계산합니다.
📊 3단계: 결과 확인
💼 연봉: 입력한 세전 연봉
💵 연 실수령액: 1년간 실제 받는 금액
📆 월 실수령액: 매달 실수령 금액
🧾 공제액: 4대 보험, 소득세, 지방소득세 등
📐 계산 기준 (2025년 기준)
① 과세표준 계산
과세표준 = 세전 연봉 – (비과세 식대 × 12개월) – 4대 보험료 – 기본공제
② 4대 보험료 (가입 시)
국민연금: 과세표준 × 4.5% (월 상한: 3,180,000원)
건강보험: 과세표준 × 3.545%
고용보험: 과세표준 × 0.9%
③ 기본공제
기본공제 = (본인 + 부양가족 수) × 1,500,000원
④ 소득세 계산 (누진세율 적용)
과세표준 구간 | 세율 | 누진공제
1,200만원 이하 | 6% | 없음
1,200만원 초과 ~ 4,600만원 이하 | 15% | 108만원
4,600만원 초과 ~ 8,800만원 이하 | 24% | 522만원
8,800만원 초과 | 35% | 1,490만원
⑤ 지방소득세
지방소득세 = 소득세 × 10%
⑥ 실수령액 계산
실수령액 = 세전 연봉 – 4대 보험료 – 소득세 – 지방소득세
⚠️ 주의사항 및 유의점
-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미적용: 실제 세무 신고 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- 추가 공제 미반영: 의료비, 교육비, 기부금 등은 반영되지 않습니다.
- 비과세 항목 제한: 식대 외 항목은 별도로 계산해야 합니다.
- 지방소득세 지역별 차이: 지역에 따라 소폭 차이 있을 수 있습니다.
💡 정확한 계산을 위한 팁
- 회사의 실제 4대 보험 공제율 확인
- 의료비, 교육비 등 추가 공제 요소 고려
- 교통비·복리후생비 등 다른 비과세 항목 여부 확인
- 연말정산 환급 또는 추가 납부 여부도 고려